CS
URI, URL, URN
loasd
2023. 1. 10. 00:08
반응형
URI와 URL 비슷하면서도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딱 들으면 대충 하이퍼링크나 그런거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텐데 확실히 뭐가 다른지 아는 사람은 적은 것 같다.
그래서 URI와 URL 그리고 URN에 대해 간단히 작성해보려고 한다.
1.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
- 네트워크를 통해 자원에 접근하기 위한 위치를 말함
- 웹사이트 주소 뿐만 아니라 컴퓨터 네트워크상의 자원을 모두 나타냄
- 특정 웹페이지의 주소에 접속하기 위해서 각각에 맞는 프로토콜(https / http 등)을 사용해야 함
2.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
-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어디에 있는지 자원 자체를 식별하는 방법임
- 인터넷 프로토콜에 항상 붙어있어야 함
3.URN(Uniform Resource Name)
- URI를 위한 역사적인 이름
- URN은 영속적이고, 위치에 독립적인 자원을 위한 지시자로 사용하기 위해 1997년도 RFC 2141 문서에서 정의되었다.
- 사용하기 힘들어 대부분 URL을 사용함
각각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이렇다.
URI가 URL, URN을 포함하고있고 URL과 URN은 서로 교집합인 부분이 어느정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URL은 URI지만 모든 URI는 모두 URL인 것은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을 봤으니 실제 웹사이트 주소를 통해 다시한번 확인하도록 하자.
위의 사진은 인터넷에 널려있는 사진을 예시로 가져왔다.
URI의 경우 URL, URN을 전부 포함하고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URL의 경우 리소스의 경로(Path)까지만 포함되고 프로토콜을 포함하고 URN은 프로토콜을 포함하지 않는다.
URL과 URN은 Subdomain부터 path까지 교집합이 있는 것도 확인하였다.
간단한 예시로 들자면 이렇다.
URL의 경우 나의 집 주소로 나를 식별하는 것이고
URN의 경우 그 집에 사는 사람의 정보 주민등록번호나 기타 방법을 통해 나를 식별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를 식별하는 이러한 방법 전부를 통틀어서 URI라고 부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