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백준/단계별 42

[C++] 백준 10989

백준의 10989번 문제 수 정렬하기 3 문제이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0989 10989번: 수 정렬하기 3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10,0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가 주어진다. 이 수는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www.acmicpc.net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왜 자꾸 정렬 재탕하지 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 문제는 다르다. 메모리 제한이 8MB이다. 그렇기 때문에 배열을 sort()로 날먹하는 방법은 사용할 수 없다. 전체 코드는 이렇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o..

백준/단계별 2022.12.30

[C++] 백준 2751

백준의 2751번 문제 수 정렬하기 2 이다. https://www.acmicpc.net/problem/2751 2751번: 수 정렬하기 2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가 주어진다. 이 수는 절댓값이 1,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수는 중복되지 않는다. www.acmicpc.net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간단한 정렬문제여서 sort()사용하면 되지만 그렇다고 막 작성하면 시간초과가 뜨기 때문에 시간을 줄이는 방법을 택해야 한다.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os::sync_w..

백준/단계별 2022.12.30

[C++] 백준 25305

백준의 25305번 문제 커트라인이다. https://www.acmicpc.net/problem/25305 25305번: 커트라인 시험 응시자들 가운데 1등은 100점, 2등은 98점, 3등은 93점이다. 2등까지 상을 받으므로 커트라인은 98점이다. www.acmicpc.net 2022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슬기로운 코딩생활에 N명의 학생들이 응시했다. 이들 중 점수가 가장 높은 k명은 상을 받을 것이다. 이 때, 상을 받는 커트라인이 몇 점인지 구하라. 커트라인이란 상을 받는 사람들 중 점수가 가장 가장 낮은 사람의 점수를 말한다. N명의 학생 수와 K명의 수상자, 그리고 점수들을 입력받고 상을 받는 커트라인의 점수가 몇인지 구하는 문제이다. sort(..

백준/단계별 2022.12.30

[C++] 백준 2587

백준의 2587번 문제 대표값2이다. https://www.acmicpc.net/problem/2587 2587번: 대표값2 어떤 수들이 있을 때, 그 수들을 대표하는 값으로 가장 흔하게 쓰이는 것은 평균이다. 평균은 주어진 모든 수의 합을 수의 개수로 나눈 것이다. 예를 들어 10, 40, 30, 60, 30의 평균은 (10 + 40 + 30 + 60 + www.acmicpc.net 어떤 수들이 있을 때, 그 수들을 대표하는 값으로 가장 흔하게 쓰이는 것은 평균이다. 평균은 주어진 모든 수의 합을 수의 개수로 나눈 것이다. 예를 들어 10, 40, 30, 60, 30의 평균은 (10 + 40 + 30 + 60 + 30) / 5 = 170 / 5 = 34가 된다. 평균 이외의 또 다른 대표값..

백준/단계별 2022.12.30

[C++] 백준 2750

백준의 2750번 문제 수 정렬하기 이다. https://www.acmicpc.net/problem/2750 2750번: 수 정렬하기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1,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가 주어진다. 이 수는 절댓값이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수는 중복되지 않는다. www.acmicpc.net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간단한 정렬 문제이다. 일단 두가지 방법을 설명하려 한다. 첫번째로는 간단한 sort()를 사용한 방식이다.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os::sync_with_stdio(false); cin...

백준/단계별 2022.12.30

[C++] 백준 2563

백준의 2563번 문제 색종이이다. https://www.acmicpc.net/problem/2563 2563번: 색종이 첫째 줄에 색종이의 수가 주어진다. 이어 둘째 줄부터 한 줄에 하나씩 색종이를 붙인 위치가 주어진다. 색종이를 붙인 위치는 두 개의 자연수로 주어지는데 첫 번째 자연수는 색종이의 왼쪽 변 www.acmicpc.net 가로, 세로의 크기가 각각 100인 정사각형 모양의 흰색 도화지가 있다. 이 도화지 위에 가로, 세로의 크기가 각각 10인 정사각형 모양의 검은색 색종이를 색종이의 변과 도화지의 변이 평행하도록 붙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색종이를 한 장 또는 여러 장 붙인 후 색종이가 붙은 검은 영역의 넓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흰색 도화지 위에 세 장의 ..

백준/단계별 2022.12.29

[C++] 백준 2566

백준의 2566번 문제 최댓값이다. https://www.acmicpc.net/problem/2566 2566번: 최댓값 첫째 줄에 최댓값을 출력하고, 둘째 줄에 최댓값이 위치한 행 번호와 열 번호를 빈칸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출력한다. 최댓값이 두 개 이상인 경우 그 중 한 곳의 위치를 출력한다. www.acmicpc.net 과 같이 9×9 격자판에 쓰여진 81개의 자연수 또는 0이 주어질 때, 이들 중 최댓값을 찾고 그 최댓값이 몇 행 몇 열에 위치한 수인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81개의 수가 주어지면 이들 중 최댓값은 90이고, 이 값은 5행 7열에 위치한다. 배열을 전부 탐색하고 최댓값과 그 위치를 구하는 문제이다. 참고로 입력해야 하는 ..

백준/단계별 2022.12.29

[C++] 백준 2738

백준의 2738번 문제 행렬 덧셈이다. https://www.acmicpc.net/problem/2738 2738번: 행렬 덧셈 첫째 줄에 행렬의 크기 N 과 M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행렬 A의 원소 M개가 차례대로 주어진다. 이어서 N개의 줄에 행렬 B의 원소 M개가 차례대로 주어진다. N과 M은 100보다 작거나 같 www.acmicpc.net N*M크기의 두 행렬 A와 B가 주어졌을 때, 두 행렬을 더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행과 열의 크기를 입력받고 그 크기의 두 배열의 합을 구하는 문제이다. 코드는 다음과 같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row, columm; cin >> row >> colu..

백준/단계별 2022.12.29

[C++] 백준 9020

백준의 9020번 문제 골드바흐의 추측이다. https://www.acmicpc.net/problem/9020 9020번: 골드바흐의 추측 1보다 큰 자연수 중에서 1과 자기 자신을 제외한 약수가 없는 자연수를 소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5는 1과 5를 제외한 약수가 없기 때문에 소수이다. 하지만, 6은 6 = 2 × 3 이기 때문에 소수가 아 www.acmicpc.net 1보다 큰 자연수 중에서 1과 자기 자신을 제외한 약수가 없는 자연수를 소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5는 1과 5를 제외한 약수가 없기 때문에 소수이다. 하지만, 6은 6 = 2 × 3 이기 때문에 소수가 아니다. 골드바흐의 추측은 유명한 정수론의 미해결 문제로, 2보다 큰 모든 짝수는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백준/단계별 2022.12.28

[C++] 백준 4948

백준의 4948번 문제 베르트랑 공준 문제이다. https://www.acmicpc.net/problem/4948 4948번: 베르트랑 공준 베르트랑 공준은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n보다 크고, 2n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명제는 조제프 베르트랑이 1845년에 추측했고, 파프누티 체비쇼 www.acmicpc.net 베르트랑 공준은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n보다 크고, 2n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명제는 조제프 베르트랑이 1845년에 추측했고, 파프누티 체비쇼프가 1850년에 증명했다. 예를 들어, 10보다 크고, 20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4개가 있다. (11, 13, 17, 19) 또,..

백준/단계별 2022.12.28
728x90
반응형